우리 공간은 교통약자 모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곳일까?
본 프로젝트는 장애인, 임산부, 어르신 등 교통약자가 이용하기에 적합한 공원 및 시설 환경을 조성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습니다. 이를 위해 교통약자 유형 별로 공원을 방문하면서 느끼는 제약사항들을 조사하고, 배리어프리 인증 가이드라인, 서울시 유니버설 디자인 가이드라인 등 지침뿐 아니라 사용자들의 감성적인 경험까지도 종합하여 현실적인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습니다.
교통약자 유형 별 사용자 경험 분석과 인사이트 수집
장애 유형 및 이동 방법에 따라 여러 변수들을 고려한 사용자들을 자체적으로 리쿠르팅하고 방문 조사를 진행하였습니다. 공간 구역을 진입공간, 접근 공간, 이동공간, 위생 공간으로 분류한 뒤 각 지점에서 공원 이용자들의 경험을 분석하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데이터 수집 후 공원 이용자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다각도에서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였고, 배리어 프리 인증 가이드라인 지침과 이용자들의 감성적인 경험을 반영하여 보고서를 작성하였습니다. 최종 보고서는 약 70장 분량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저시력 시각장애인 입장에서 표지판 디자인 조사

저시력 시각장애인 입장에서 표지판 디자인 조사


경사로 이용 경험 조사


점자 문구 조사

휠체어 이용 장애인 입장에서 표지판 디자인 조사

보행로 이용 경험 조사

경사로 이용 경험 조사

실내 공간 출입구 이용 경험 조사
프로젝트 산출물
사용자 조사 인사이트 보고서
사용자 조사를 통해 얻게 된 인사이트를 가이드라인 뿐 아니라 교통약자의 감성적인 경험까지 포함한 다양한 각도에서 분석하여 보고서로 제작하였습니다.
개선 방안 보고서
국내 주요 가이드라인 및 법규를 조사하여 개선 방안의 필요성을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제시하였습니다. 또한 이용자들의 이용 경험 코멘트도 첨부하여 누구나 이해하기 쉽게 제작되었습니다.
연관 프로젝트 및 아티클
ADHD, 난독증, 공황장애 사용자 경험을 위한 UX 리서치
시각장애인을 고려한 유니버설 패키지 디자인
포용적 사용자경험을 반영한 차세대 UX디자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