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근성 리서치
포용적 도서관과 놀이공간
모두를 환대하는 포용적 도서관과 놀이공간
도서관은 지역사회의 누구에게나 열려있는 공공 공간입니다. 따라서 신체나 감각, 인지 영역에서 지원이 필요한 이용자들도 자유롭게 방문하고 최적의 경험을 누릴 수 있도록 개방된 공간이 되어야 합니다. 아이가 자라나는
최적의 사용자 모집과 신뢰성, 균형감 확보를 위한 정량적 요소 도입
짧은 기간 내에 다양한 사용자를 모집하는 것이 큰 도전이었습니다. 짧은 인터뷰 기간 내에 다양한 유형별 사용자 인터뷰가 진행되어야 했기에, 제한된 기간과 정해진 인원 내에서 깊이 있는 인사이트를 얻는 것이 중요하였습니다. 이를 위해 조사 인원의 3배수 이상(60명 이상)을 모집하고, 한 달 넘게 전화 인터뷰 등을 하여 최적의 참여자를 선별하는 과정을 거쳤습니다.
또한, 각 사용자 의견에서 공통된 맥락을 찾기 위해 인터뷰 과정에 정량적 요소를 도입하였습니다. 각각의 가정에 방문하여 인터뷰를 진행하는 방문 조사 특성상, 사용자 의견이 파편적이어서 공통점을 찾아내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를 극복하고 공통된 인사이트를 얻기 위해 정량적 요소를 도입하여 이를 기준으로 결과의 신뢰성과 균형감을 확보하고자 노력하였습니다.
문화적 맥락을 반영한 결론 도출과 자연스러운 동시통역 환경 마련
해외 클라이언트에게 한국 시장만의 문화적 및 정서적 특성을 전달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였습니다. 한국 내에서의 공간적 특징과 사회적 맥락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행동 패턴과 의견에 담긴 의미를 설명하는 과정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였습니다.
동시통역 환경 구축도 쉽지 않은 과제였습니다. 많은 인원이 한꺼번에 인터뷰에 참여하면 인터뷰를 위해 가정을 개방하는 사용자의 부담도 커지기에 인원수를 제한하는 등 최적의 인터뷰 환경을 조성하고자 노력하였습니다. 인터뷰에 방해가 되지 않는 선에서 동시통역 장비를 활용하여 원활한 소통이 가능하게 하였습니다.
프로젝트 산출물
사용자 인터뷰
최적의 인터뷰를 위해 인원의 3배 이상을 모집하고 선별하여 다양한 사용자와 인터뷰를 진행하였습니다. 시각·청각·지체 장애인뿐만 아니라 ADHD와 난독증이 있는 신경다양한 사용자에게서 깊이 있는 인사이트를 도출하였습니다.
정량적 데이터 도출
사용자의 의견을 OTT 플랫폼별 정량적 데이터로 분석하여 접근성의 개선이 필요한 영역과 기능 등을 파악하고 조사의 신뢰성을 확보하고자 하였습니다.
인터뷰 번역 스크립트 및 영상
접근성 리서치는 플랫폼 사용 단계 및 장애 유형별로 분류하였고, 사용자의 의견이 담긴 영상을 번역된 스크립트와 개선 방안을 함께 담아 전달하였습니다.
연관 프로젝트 및 아티클
벽오지 시니어 사용자 경험 연구
2025 | 현대자동차
글로벌 OTT 접근성 연구
2025 | Global OTT Firm
공공시설 공간 접근성 개선을 위한 분석